영화 인 더 로스트 랜드 결말 줄거리 후기 정보 In the Lost Lands 2025 밀라 요보비치 데이브 바티스타

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영화 인 더 로스트 랜드 결말 줄거리 후기 정보 In the Lost Lands 2025 밀라 요보비치 데이브 바티스타

영화

by 삶의 노래 2025. 4. 22. 14:33

본문

반응형

 

▣ 영화 인 더 로스트 랜드 In the Lost Lands 줄거리

 

전쟁으로 세상은 황폐해지고, 괴생명체들이 로스트 랜드를 점령한다.

 

살아남은 인류는 도시를 건설하고, 전제군주와 교회의 대주교가 도시를 통치한다.

 

어느 날, 여왕과 경호대장 제라이스가 소원을 들어주는 마녀 그레이 앨리스를 찾아온다.

 

여왕이 늑대인간같이 변신할 수 있는 능력을 갖게 해 달라고 앨리스에게 요구한다.

 

여왕은 병든 군주 대신 변신능력을 이용해 밤마다 사랑하는 남자에게 가기를 원한다.

 

반면 제라이스는 은밀히 여왕의 소원이 이루어지지 않게 해 달라고 마녀에게 부탁한다.

 

앨리스가 늑대인간 사도르를 잡기 위해, 로스트 랜드의 사냥꾼 보이스를 고용한다.

 

인 더 로스트 랜즈 포스터
영화 인 더 로스트 랜드 포스터

 

앨리스가 보이스의 안내로 도시를 떠나 늑대인간이 사는 스컬 리버로 향한다.

 

한편 대주교가 여왕을 쓰러뜨리기 위해, 마녀의 자백을 받아오라고 집행관에게 명령한다. 

 

보이스가 앨리스와 함께 친구 로스와 그의 여동생 마라의 집에서 하룻밤 머문다.

 

집행관이 로스를 고문해 죽인 후, 마라를 인질로 잡고 마녀 앨리스를 추격하는데...

 

▣ 인 더 로스트 랜즈 감독 및 배우, 제목 뜻

 

영화 인 더 로스트 랜즈는 밀라 요보비치의 남편으로 <몬스터 헌터>를 연출한 폴 앤더슨 감독의 작품이다.

 

<레지던트 이블>, <헬보이>의 밀라 요보비치가 그레이 앨리스를,

 

<듄>, <똑똑똑>의 데이브 바티스타가 보이스를,

 

<늑대의 제국>의 알리 조버가 집행관을 연기한다.

 

영화 제목 인 더 로스트 랜즈(In the Lost Lands)는 '잃어버린 땅에서'를 의미한다.

 

▣ 인 더 로스트 랜드 결말과 후기, 정보 

 

보이스의 아이를 임신한 여왕이 병든 군주를 죽이고 왕좌를 차지한다.

 

대주교가 겉으로는 여왕에게 무릎을 꿇지만, 스스로 군주가 되길 꿈꾼다.

 

여왕이 경호대장 제라이스를 사주해, 대주교와 그의 추종자들을 학살한다.

 

앨리스는 다친 보이스의 상처를 꿰매면서, 그의 몸에 은조각을 넣는다.

 

앨리스가 집행관을 유인해, 그녀가 탄 열차를 절벽 밑으로 추락시킨다.

 

보름달이 뜨는 밤, 앨리스와 보이스가 해골로 뒤덮인 스컬 리버에 도착한다.

 

사도르로 드러난 보이스가 거대한 늑대인간으로 변해 앨리스와 대결한다.

 

마녀 앨리스와 사냥꾼 보이스
마녀와 사냥꾼

 

앨리스가 미리 심어둔 은과 환영 마법으로 늑대인간을 쓰러뜨린다.

 

보이스가 앨리스와 함께 사냥하며 함께 지내고 싶다고 소원을 말한다.

 

앨리스가 늑대인간을 죽인 후, 가죽을 벗기고 사체를 매장한다.

 

앨리스가 늑대 가죽을 전달하고, 도시민들이 군주와 교회 타도를 외친다.

 

여왕이 죽은 늑대인간이 사랑하는 보이스임을 알고 제라이스를 살해한다.

 

여왕이 분노한 도시민들을 피해 달아나고, 늑대가죽이 불타면서 보이스가 부활한다.

 

보이스가 복수하기 위해 앨리스를 찾아와 죽이려고 시도한다.

 

마녀가 여왕과 제라이스, 보이스 세 사람의 소원을 모두 이루어 주었다는 사실이 밝혀진다.

 

앨리스와 보이스가 웃으며 함께 사냥을 떠나면서 영화가 끝난다.

 

조지 R.R. 마틴의 동명 단편에 기반한 영화 인 더 로스트 랜드(In the Lost Lands)는

 

포스트 아포칼립스를 배경으로 소원을 들어주는 마녀와 사냥꾼의 여정을 통해

 

인간의 욕망과 그로 인한 대가, 중세 시대를 연상시키는 종교적 광기를 그리지만,

 

장르의 혼재로 인한 산만한 전개로 로튼 토마토 3.5/10점, 메타크리틱 41/100점 등 낮은 평점을 얻은 판타지 액션물이다.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