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아이 소 더 티비 글로우 결말 줄거리 후기 정보 I Saw the TV Glow 2024

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영화 아이 소 더 티비 글로우 결말 줄거리 후기 정보 I Saw the TV Glow 2024

영화

by 삶의 노래 2024. 6. 28. 16:14

본문

반응형

 

▣ 영화 아이 소 더 티비 글로우 I Saw the TV Glow 줄거리

 

1996년, 13살 외톨이 소년 오웬은 TV 쇼 '핑크 오페익(Pink Opaque)' 가이드를 읽고 있는 매디와 마주친다.

 

매디는 밤 10시 이후에 TV를 시청할 수 없는 오웬에게 핑크 오페익을 함께 보자고 제안한다.

 

오웬은 친구 집에서 자고 오겠다고 부모에게 거짓말하고, 매디의 집에서 10대 소녀 이사벨과 타라가 악마에 맞서 싸우는 핑크 오페익을 시청한다.

 

그 후 매디는 핑크 오페익을 녹화해, 그 테이프를 오웬에게 전달한다.

 

2년 후 오웬의 엄마 브렌다가 불치병에 걸리고, 아빠 프랭크는 핑크 오페익이 계집애나 보는 프로그램이라고 핀잔을 준다.

 

매디는 자신이 레즈비언이라고 고백하지만, 오웬은 자신의 성정체성에 혼란을 느낀다.

 

영화 아이 소 더 티비 글로우 포스터입니다.
영화 아이 소 더 티비 글로우 포스터

 

매디는 마을을 떠나겠다고 밝히고, 함께 가자고 오웬에게 제안한다.

 

매디는 이사벨과 타라처럼 핑크 오페익을 나타내는 표식을 오웬의 목에 그려준다.

 

다음 날 오웬은 목의 표식을 지우고, 매디와 함께 떠나지 않기 위해 스스로 외출금지를 당한다.

 

그 후 브렌다가 세상을 떠나고, 매디가 불탄 티비를 남기고 흔적도 없이 사라진다.

 

얼마 지나지 않아 핑크 오페익이 종영되고, 마지막 에피소드를 담은 테이프가 오웬에게 배달되는데...

 

▣ 아이 소 더 티비 글로우 감독 및 배우, 제목 뜻

 

영화 아이 소 더 티비 글로우는 <우리는 모두 월드 페어로 간다>를 연출한 제인 쇤브룬 감독의 작품이다.

 

<더 보이어즈>, <샤퍼>의 저스티스 스미스가 오웬을,

 

<아멜리아스 칠드런>, <액설런트 어드벤쳐 3>의 브리짓 런디 페인이 매디를 연기한다.

 

영화 제목 아이 소 더 티비 글로우(I Saw the TV Glow)는 '나는 TV가 빛나는 걸 목격했다'를 뜻한다.

 

영화는 사회적 관습이나 주위 사람들의 시선에 갇혀, 자신의 성정체성을 밝히지 못하는 불행한 주인공을 조명한다.

 

▣ 아이 소 더 티비 글로우 결말과 후기, 정보

 

8년 후, 매디가 아빠 프랭크와 함께 살며 영화관에서 일하는 오웬을 찾아온다.

 

매디는 TV 쇼 핑크 오페익의 세상에 있었다고 주장하며, 마지막 에피소드를 기억하라고 말한다.

 

핑크 오페익 마지막 방송에서 악마는 이사벨의 심장을 꺼내고 루나 주스를 먹여 새벽 왕국에 가둔다.

 

오웬은 자신이 새벽 왕국에 갇힌 이사벨임이라는 사실을 깨닫는다.

 

프랭크가 TV 속으로 빨려 들어가는 오웬을 꺼내고 물로 씻긴다.

 

오웬은 내 집도 내 아빠도 아니라고 소리치며 루나 주스를 토한다.

 

매디는 자신이 이사벨을 구하기 위해 돌아온 타라라고 주장하며, 오웬을 풋볼 경기장 뒤편으로 안내한다.

 

오웬과 매디가 함께 티비 쇼를 본다.
오웬과 매디

 

두려움을 느낀 오웬은 매디를 밀치고 10년 전처럼 또다시 달아난다.

 

2010년, 아빠 프랭크가 뇌졸중으로 사망하고 오웬은 가정을 꾸린다.

 

오웬은 스트리밍 서비스로 핑크 오페익을 다시 보면서 수치심을 느낀다.

 

20년 후, 나이 든 오웬은 생일 파티 도중 살려 달라고 외치며 오열한다.

 

오웬은 화장실에서 배를 가르고, 그 속에서 빛나는 TV쇼를 바라본다.

 

오웬이 손님들에게 잘못을 사과하지만, 그 누구도 오웬을 신경 쓰지 않으면서 영화가 끝난다.

 

엠마 스톤이 제작에 참여한 영화 아이 소 더 티비 글로우(I Saw the TV Glow)는 

 

성정체성에 혼란을 느끼는 10대가 현실과 TV 쇼 사이에서 겪는 두려움과 외로움 등을 다루며,

 

선댄스 영화제 초연 후 로튼 토마토 평균 평점 7.6/10점, 메타크리틱 84/100점으로 긍정적인 평가를 받은 한 편의 동화 같은 공포물이다.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